• 북마크
  • 추천 태그

범죄안전

사이버범죄의 뿌리, 대포통장

짧은주소

본문

2313DB49593E7654172B7B

 

가상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사이버 범죄는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날로 다양화, 지능화 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대출빙자 사기, 랜섬웨어등 교묘한 수법 등장으로 폭넓은 연령층에서도

피해가 보고되고 있는데요, 가상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범죄인 만큼

피해예방 및 범인 추적에 어려움이 많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런 사이버 범죄들에게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고 하는데요,

바로 *대포통장을 이용하여 금전적인 이득을 취한다는 점 입니다.

*통장을 개설한 사람과 실제로 사용하는 사람이 다른 비정상적인 통장


사이버 범죄자들은 경찰의 추적을 피하고, 안전하게 사기금을 인출하기 위해

 

이 대포통장을 필수적으로 이용하고 있는데요, 명의자와 실사용자가 다르기 때문에

금융경로의 추적을 쉽게 피할 수 있다고 합니다.

 

227BC938593FB7CA1D64E0

 

 

사이버 범죄를 근절하기 위해선 바로 이 대포통장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요,

그러기 위해선 우리 모두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바로 우리 모두가 타인에게 통장을 대여해 주지 않는 것이 근본 해결책이 될 수 있는데요,

범인들은 대포통장을 구하기 위해 피해자들로 부터 통장을 대여 혹은 매입하기도 하고

피해자를 속여 가로채기도 합니다.

 

27483C3A593F8CA1127484

<그림 - 금융감독원>

 

범인들은 주로 SNS, 인터넷 카페 등을 이용해 통장을 매매 혹은 대여한다는 글을 올린 뒤

주로 '당일 입급', '월 00원 지급' 등의 단어로 이용자들을 유혹하는가 하면,

 

취업에 필요한 서류인것 처럼 속여

통장이나 현금카드, 비밀번호를 묻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217F1C39593F8A18088F35222DBF39593F8A18309CF1

<통장대여 사기 메시지 사례>

 

223F3D39593F8A1F2F4EE7254F8E39593F8A2024FC8E

<채용서류 빙자 사기 메시지 사례>

 

위 사례와 같이 통장을 빌려주는 대가로 을 준다는

메시지나 광고는 모두 사기라고 볼 수 있으며,

 

타인에게 통장을 빌려 주는 것 자체만으로도

범죄에 연루 될 수 있으며,

 

형사상 전자금융거래법 제6조 3항 및 제49조 4항

에 따라 3년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민법 제760조 공동불법행위자로서 손해배상책임도 질 수 있습니다.

 

2420BC40593F9A7D03CF6B

 

따라서 통장과 체크 카드는 항상 안전한 곳에 보관하여야 하며

불필요한 통장은 정리하여 분실 및 범죄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통장 이나 신분증의 사본을 넘겨 주는 일 만으로도 
대포통장의 명의인이 될 수 있으니 이점 유념하셔야 합니다.

 

만약, 통장 등을 다른사람에게 건넨 경우에는

즉시 통장을 발급한 은행에 지급 정지 또는

해지 신청을하고 112에 신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금융감독원에서는 www.phishing-keeper.fss.or.kr

대포통장 신고포상 제도도 운영하고 있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https://smartsmpa.tistory.com/3737 [스마트 서울경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