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마크
  • 추천 태그

여행안전

라싸열 발생 관련 안전 공지

짧은주소

본문

? 

 

라싸열 발생 관련 안전 공지

 

 

 

○ 최근 나이지리아 10개주 Bauchi, Nassarawa, Niger, Tarabara, Kano, Rivers, Edo, Plateau, Gombe, Oyo 주에서 라싸열 환자 81명이 발생하여 이 중 35명이 사망, 치사률이 43.2 퍼센트에 이르는 등 라싸열 위험이 커지고 있습니다. 관련하여 라싸열 개요 및 주의사항을 당부하오니 참고하시어 피해 없도록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라싸열

 

   ♧ 1969년 나이지리아 라싸 지방에서 최초로 발병했던 사람의 이름을 붙여 명명한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

 

   ♧ 라싸 바이러스에 감염된 마스토미스(Mastomys natalensis)종에 속하는 설치류의 배설물, 체액과 접촉함에 따라 사람이 감염되고, 사람과 사람과의 감염은 혈액과 체액의 접촉에 의함

 

   ♧ 아프리카 지역의 풍토병으로 베닌,기니,나이지리아,라이베리아,시에라리온,세네갈,케냐 등의 남서 아프리카에서 발병 확인, 서아프리카에서는 매년 라싸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 수가 약 10만명에서 30만명으로 추정되며 그 중 약5천명이 사망하였음

 

   ♧ 라싸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들의 80%는 단순 증상, 또는 무증상이고 20%만 중증으로 나타남, 바이러스 감염후 3일에서 16일 사이(잠복기)에 발열,권태감,두통, 인후통, 기침,구토,설사,근육통,흉통,복통 이명 등이 진행되며 점차적으로 더욱 심해짐

 

   ♧ 임신 중 감염시 80%가 유산, 치사율은 특히 임신말기의 여성과 태아에게서 높으며, 태아의 95%는 감염된 임산부들의 자궁안에서 사망함

 

   ♧ 후유증으로 이명, 청각 상실이 병증 상태와 관계없이 약1/3정도에서 나타나고, 영구적으로 청력을 잃는 경우도 많음

 

 

 

≪당부사항≫

 

○ 라싸열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설치류 접촉 및 설치류의 배설물 이나 체액에 오염된 음식 및 물건과의 접촉을 피하고, 외출전후 손씻기 등 개인위생관리 철저